![[탐구 보고서] 확률과 통계 통계자료 분석하기](/assets/images/posts/[탐구 보고서] 확률과 통계 통계자료 분석하기.png)
[탐구 보고서] 확률과 통계 통계자료 분석하기
다양한 통계자료로 저출산 파헤치기
목차
통계자료를 분석하기
구글 트렌드: https://trends.google.co.kr/trends/?geo=KR
빅카인즈: https://www.bigkinds.or.kr/
작성 내용
주제 및 분석 목적
저출산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증가시키는 요인 찾기
저출산은 최근 가장 심각한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중들의 단합으로 의견을 표출해 정책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대중들의 단합’을 위해 가장 먼저 저출산에 대해 관심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장 첫번째 단계라 인식했기에 해당 주제를 선정했습니다.
자료분석 방법
‘저출산고령화사회위원회’에서 발표한 기사를 참고 했습니다.
Google Trends를 활용해 대중의 검색 숫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습니다.
또한 슈카월드는 저출산 영상들이 올라오는 날짜와 ‘저출산’ 주제 검색 수를 비교해 봤습니다.
자료분석 내용
저출산고령화위원회에서 발표한 저출산 인식 설문조사 결과 대중이 인식한 저출산 현상의 원인은 경제적 부담 & 소득 양극화(40%), 자녀 양육 & 교육에 대한 부담감(26.9%), 만혼과 비혼 증가(13.2%) (이하 생략) 이었습니다.
이 중, 첫번째와 두번째 요인의 비율이 압도적인 것을 고려해 관련 검색어 및 해당 주제를 자주 다루는 유명 유튜버의 검색 횟수를 조사했습니다.
자료 결과 분석
각 자료의 표준편차는 저출산, 슈카월드(유튜버), 사교육, 부동산, 메가스터디 순으로 19.98057, 15.1993, 19.69821, 6.787629, 14.10125이며, 저출산이 검색 횟수가 날짜 별로 가장 들쑥 날쑥 했으며, 부동산이 가장 일정했습니다.
아래는 상관관계를 분석해본 결과입니다.
예상 외로 부동산, 메가스터디와 같이 설문조사에서 대중이 저출산의 가장 큰 요인이라 한 것들은 음의 상관관계를 이룸이 나타났습니다.
반면에 메가스터디와 매우 유사한 검색어인 사교육은 양의 상관관계를 이뤘습니다.
이를 통해 대중이 부동산과 같은 자기 자신의 웰빙보다는 자식의 교육, 생활과 같은 사교육이 저출산과 함께 많이 조회한 주제임이, 메가스터디처럼 사교육 중에서도 아주 구체적인 주제는 잘 다루지 않는 것 같습니다.
또한, 갈수록 심각해지는 저출산 수치와는 달리 날이 갈수록 대중들의 저출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 출산 수치의 상승을 기대해 볼 만도 할 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슈카(유튜버)가 저출산 주제와 관련이 너무 낮던 점을 기이하게 여겨 슈카가 저출산 영상을 업로드 한 날과 저출산 주제의 조회 횟수를 분석해봤습니다.
그 결과 평소 저출산과는 상관없는 주제를 다루기에 상관관계가 낮았을 뿐, 영상별로 조사해보면 아마도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가질 만큼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습니다.
해당 탐구과정을 통해, 우리 사회 뿐 아니라 통계 자료의 숫자도 수많은 요인들로 인해 결정되며, 앞에서 한 검색어 조회같이 단순한 집계만으로는 이면의 숨은 상관관계를 알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표준편차라는 수업시간에 배운 용어들을 통해 통계자료에서 유의미한 의미를 도출해냈다는 점에서 뿌듯했습니다.
이상.